정책 이야기/정부 정책

[부동산_양도소득세 2] 1세대 1주택 비과세 기준금액을 초과한 주택 양도시 양도소득세 계산방법.

미래소년_줄루 2022. 4. 24. 06:44
728x90
반응형
SMALL

오늘은 1세대 1주택 비과세 기준금액을 초과하였을 경우, 양도세 계산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1세대 1주택 비과세 기준금액(12억)을 초과하여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양도소득세 계산방법은?

 

 

부산에 1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홍길동씨는 ’22.6월 거주하던 주택을 양도할 예정임.

 

양도가액 : 15억원

취득가액 : 5억원

필요경비 : 5천만원

보유·거주기간 : 12년

 


 

Q. 2021년 12월 8일 이후 양도분부터 1세대 1주택 비과세 기준 금액이 9억원에서 12억원으로 상향되었다고 하던데,

- 제 경우 개정된 세법을 반영하면 양도차익, 장기보유특별공제 등 양도 소득세를 어떻게 계산하나요?

 

A. 1세대 1주택으로서 고가주택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전체 양도차익 중 고가주택 기준금액을 초과하는 양도차익에 대하여만 과세하고 고가주택 기준금액 이하에 해당하는 양도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를 적용합니다.

 

- ’21.12.8. 소득세법 개정으로 비과세 기준 금액이 9억원에서 12억원으로 상향되었으며

 

- 귀하의 경우 이를 반영하여 계산한 과세표준 금액에 세율을 적용한 산출 세액은 4,245,000원*입니다.

 

* 계산 풀이 방법은 다음 페이지 참고

 

1세대1주택 고가주택의 양도소득금액 계산

 

​1세대 1주택으로서 고가주택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전체 양도차익 중 12억원(양도일이 ’21.12.7. 이전은 9억원)을 초과하는 부분에 상당한 양도차익에 대하여만 과세하고 12억원 이하에 해당하는 양도차익은 과세하지 않습니다.

 

 
 

계산 풀이 법

 

5번 비과세 양도차익은 어떻게 나온거지? 라고 하시는 분이 계실지 몰라

저의 경우는 4번 전체양도차익까지 구한 후,

6번 과세대상 양도차익을 구했습니다.

그리고, 전체 양도차익에서 과세대상 양도차익을 빼서,

비과세 양도차익을 구했습니다.

 

비과세 양도차익 = 전체 양도차익(9.5억)-과세대상 양도차익(1.9억)

비과세 양도차익=7.6억

 

 

그렇게 어렵지 않으시죠?

그 다음부터는 순서대로 흘러가시면

산출세액을 구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시사임당 #시사큐레이터

#부동산 #부동산가격

#부동산소식 #부동산이야기 #부동산뉴스

#양도소득세 #1가구다주택

 

2022.04.23 - [경제적 자유] - [부동산_양도소득세 1] 양도소득세 관련 월간 질의 TOP 10

728x90
반응형
LIST